차혜림 (Hyelim Cha)

〈회전초(Tumbleweed)〉, Video, 03:54, 2018

차혜림

〈회전초〉, 비디오, 03:54, 2018

〈회전초〉는 서울 금천구 일대에서 촬영한 영상작업이다. 한국은 급속한 산업화를 거치면서, 높아진 경제 성장과 이면의 자본주의 모순이 동시에 성장하면서 노동자들에게 길고 짙은 그림자를 드리웠다. 한국 산업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금천은 한 장의 얇은 막을 사이에 두고 소규모 하청업체와 IT업체들이 공존하며 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표피를 갈아입었지만, 그안에서의 노동자들의 고단한 삶은 변함이 없다. 사라지면 너무도 쉽게 대체되는 노동자이지만, 높은 탑에서 지구라는 카펫을 수놓는 레메디오스바로의 그림 속 여성들처럼, 지구라는 덮개가 맨살을 드러내지 않고 옷을 입을 수 있는 것은 그림자 같은 노동자들의 수고로움에서 비롯된다. 영상에서는 1983년 북아메리카 비디오 게임 업계의 대규모 경기침체 사건인 아타리 쇼크(Atari Shock), 곰의 은신처에서 48년간 숨어 살다가 인류학 박물관에서 살아있는 유물로 전시되었던 북미대륙 이히 부족 최후의 생존자 이시(Ishi), 늘 꽉 막혀있는 가산동의 수출의 다리 등을 등장시킨다. 봉제공장 노동자와 게임개발자 두 개의 삶을 동시에 사는 노동자는 고정된 배경 속에서 급격한 시공간의 전이를 보여주는 영화 편집 기법처럼, 삶의 점선들을 비틀거리며 넘어가면서 삶을 스티칭해 나간다. 한국 사회의 급격한 성장 속도는 경유지를 벗어나 보이지 않는 억압을 포함한 사회 제반적인 이슈들이 간과된 공간을 파생시켰다. 압축성장으로 인해 점프컷(jump cut)하면서 상실한 빈칸에 채워넣을 우리의 이야기에 주목하며 작가는 현실의 벌어진 틈을 봉합하고자 시도한다. 


*본 사진은 ()서울특별시미술관협의회에서 서울시 보조금을 지원받아 제작하였습니다.

Hyelim Cha

〈Tumbleweed〉, Video, 03:54, 2018

Tumbleweed is a video work filmed in the Geumcheon-gu area of Seoul. As Korea went through rapid industrialization, high economic growth and the contradictions of capitalism intensified at the same time, casting a long and dark shadow on laborers. In Geumcheon, which can be regarded as a cross-section of Korea’s industrial society, small-scale subcontractors and IT companies coexist. Although their appearance might have changed over time, the hardships of the laborers remain unchanged. While laborers are swiftly replaced by other laborers, like the women in Remedios Barro’s paintings who weave the garment for the earth in a tower, it is because of the hard work of the workers that this planet is able to remain dressed without exposing itself. In the video, the Atari Shock, a large-scale economic downturn in the North American video game industry in 1983, Ishi, the last survivor of the North American continent’s Ihi tribe, who lived in hiding in a bear’s lair for 48 years and was displayed as a living artifact at the Anthropological Museum, the packed export bridge of Gasan-dong are interwoven. The rapid growth of Korean society has created a condition where social issues, including invisible oppression, remain overlooked. Cha’s work pays attention to and seals the gaps created as a result of such ‘jump cuts’ or compressed growths.

토탈미술관

서울시 종로구 평창 32길 8
TEL 02-379-7037, 3994 / FAX 02-379-0252
info@totalmuseum.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