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윤 (JeongYoon Ahn)

〈공화국 찬가(The hymn of a republic)〉, Video, 4:44, 2009

안정윤 

〈공화국 찬가〉, 비디오, 4:44, 2009

<공화국 찬가>는 텍스트나 대사가 없는 대신 이미지와 사운드로만으로 무언의 항변 같은 인상을 전달한다. 2009년은 한국 정치의 어두운 현실과 전망,  또한 비유럽연합 출신자에 대한 비우호적 정책이 확산되는 네덜란드의 상황이 작가의 일상에도 짙은 그림자를 드리우던 시기였다. 영상이 담아내는 범위는 고작 작가의 얼굴 일부분, 그 중에서도 안구라는 아주 협소한 공간에서 일어난 에피소드를 보여주고 있다. 외부 이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미세한 속눈썹이 오히려 고통을 주는 듯한 장면들은 ‘보호’라는 이름 아래 작동하는 사회 구조와 그 이면의 폭력성을 떠올리게 한다. 김성완 음악가와의 협업으로 만들어진 배경음악은 애국가 합창을 변형시킨 것으로, 어둡고 거대한 질감의 사운드가 돋보이며 개인과 세계가 교차하고 충돌하는 지점을 극대화한다.


*본 사진 ()서울특별시미술관협의회에서 서울시 보조금을 지원받아 제작하였습니다.

JeongYoon Ahn

〈The hymn of a republic〉, Video, 4:44, 2009

The hymn of a republic conveys the impression of a silent protest through images and sounds that are void of texts. The year 2009 was a time when the dark reality and prospects of Korean politics and the situation in the Netherlands, where unfriendly policies towards non-European people were spreading, cast a deep shadow on the artist’s daily life. The scope of the video is limited to a fragment of the artist’s face, a very narrow space called the eyeball. This is where the work unfolds. Fine eyelashes that are supposed to protect the eyes from dusts, appear to inflict pain in the video and this subtle visual analogy reminds us of the social structure that operates under the name of ‘protection’ yet inflicts violence. The background music composed in collaboration with musician Seongwan Kim is a variation of Korean national anthem: its characteristically dark and granular sound highlights the point where the individual and the world intersect and collide.

토탈미술관

서울시 종로구 평창 32길 8
TEL 02-379-7037, 3994 / FAX 02-379-0252
info@totalmuseum.org